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신간]"왜 교토인가 2" 를 출간한 시인 이승신

by Hessed헤세드 2021. 8. 30.

 

신간 『왜 교토인가  2』 를 출간한 시인 이승신

★ 한국과 일본에 대한 관심이 제로되어 안타까워 

 

'한국에 윤동주 시비가 여기 (도시샤同志社 대학) 세워져 있다는 소문이 나갔는지

많은 분이 한국에서 그 시비를 보러 찾아옵니다 … 

그러나 그들은 이 캠퍼스에 귀한 중요문화재가 5 동이나 있다는 것과, 창립자

니이지마 조新島 襄는 누구이고, 그 부인 야에新島八重 가 왜 '일본의 잔 다크'이며

어떤 인물인가에는 관심이 없고 오로지 시인 윤동주에만 관심을 표합니다'

 

시인이자 칼럼니스트 이승신씨가 새로 펴낸『왜 교토인가 2 - 내가 살던 동네 데마치出町』의

일부다. 교토의 유서깊은 도시샤同志社 대학에서 2015~2016년 수학한 그는 2018년, 61개의

교토 이야기를 엮어『왜 교토인가』를 출간하여 문학상도 받았다.

그 61개 이야기에 이어 이번에는 44개의 이야기를 추가했다.

 

이 시인은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마을들이 사라지고 수많은 사람이 갔을 때에

 ‘삶에 나라에 어찌 꽃피는 봄날만이 있으랴’의 시들을 순식간에 써서 당시 중앙일보와

일본 아사히신문에 공동 게재되어 주목을 받았고 양국에서 시집이 나오기도 했다.

 

이후 일본을 자주 가게 되며 제대로 일본을 알아야겠다는 생각에 교토 도시샤대학에서

공부를 하게 되었다. 손호연 시인 어머니는 우리가 1400여 년 전 전해준 일본 전통 시가인

단가短歌의 명인이기도 하다.

 

새 책에는 도시샤 대학과 창립자 니지마 조에 대한 소개부터 그가 유학시 살았던 조용한

동네 데마치出町 의 일상과 교토에 남은 윤동주의 자취, 두부·장어 등 교토의 맛집 등

교토 구석구석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저자는 서문에서 '사랑의 반대는 미움과 증오가 아니라 무관심인데 그것은 한 일관계에도

적용되어, 일본과 한국의 서로에 대한 관심이 아예 제로가 되어버린 것 이 안타깝다' 고

밝혔다./중앙일보2021.8.2 유성운 기자 

 

★왜 교토인가. 2(이승신의)
★저자: 이승신 출판: 호연글방  

           2021.7.15.

 

 

 

 

 

★책소개

왜 교토인가’가 출간된 것은 2018년 입니다.
2011년 한·일 양국에서 출간된

‘삶에 나라에 어찌 꽃피는 봄날만이 있으랴’

‘그대의 마음 있어 꽃은 피고’ 두 시집이 화제가 된 후,

일본에 자주 갈 일이 생기면서 일본을 너무 모르는 것이

양심에 걸려, 천 년 고도古都 교토京都에 공부하러 갔고

동지사 대학同志社大學을 나온 것이 2016년이니

그 앞뒤로 적어도 4년 이상 써온 것입니다.


생각하면 가깝고 뭘 좀 안다고 생각해 간 일본은 낯선 이국異國이었습니다. 만학으로 한

공부도 힘겨웠지만, 그간의 수많은 사나흘 방문으로는 보고 느끼지 못 한 것들을 귀국해 써나갔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일본을 관광이든 여행이든 방문을 했고 앞으로도 갈 것이지만, 제가 그랬듯

피상적으로만 본 일본의 역사를, 조금만 깊이 들여다보면 보일 문화를 보지 못 했습니다.

더구나 그 안에 살고있는 사람이나 그들의 생각을 모르고 있는 것이 아쉬웠습니다.
늦게나마 배우고 조금 깨우친 것을 전해야 한다는 사명감으로 집필에 들어섰고,

지난 세월의 방문과 그리고 공부로 머물었던 교토와 일본을 세심히 보면서 우리와의 깊은

인연과 관계를 새삼 느끼게 되었습니다. 왜 그들이 한국 시인인 손호연의 시비를 아오모리

태평양 가에 높이 세웠는지 그 뜻도 알게 되었습니다.
4백 쪽이 넘는 두툼한 그 책으로 일본에 대한 마음 속 숙제는 어느 정도 정리했다 싶었습니다.

그러다 돌아가는 상황과 사람들이 교토에 가며 그 책을 들고 가거나 가서 제게 물어오는

것들을 보며 거기에 빠진 것, 그 미비한 마음이 떠올랐습니다.
그러나 무엇보다 지리적으로나 역사적으로 혈연적으로 가까워야 할 우리가 그렇지 못한

것에 마음이 무거워집니다.

2012년 시작된 반일 혐한도, 기다리면 된다는 미덕도 이제 십년이 되어 갑니다.

사랑의 반대는 미움 증오가 아니라 무관심이라는 말은 여기에도 해당되어 서로의 관심이

아예 제로가 되어버린 것이 안타깝기만 합니다.
‘이웃끼리, 이웃나라 끼리, 인류가 다툼 없기’를 절실히 바란 어머니의 소원은 온전히

저의 소원이 되기도 했습니다. 미래에 후손에게 이런 상황을 넘기는 건 아니라는 생각입니다.

코로나 비대면 세상이 길었습니다.
그러나 저의 비대면은 더 긴 시간이었고, 그 시간에 여전히 한일관계와 양국 국민의 무관심이

염려되어 마침내 글 하나하나를 뜸 들이어 적게 되었습니다.
교토엔 저만 알고 숨기고 싶은 명소도 많지만, 매일 아침마다 백팩을 메고 종종걸음으로

대학 캠퍼스를 들어갔던 제가 살던 근처의 조용한 동네 데마치出町도 있습니다.
한국과 미국의 문화가 몸에 배인 제가 어쩌다 일본통으로도 알려지게 되었지만,

그 데마치出町 마을를 그리며 이렇게 ‘왜 교토인가 2’를 다시 세상에 내어 놓습니다.
‘왜 교토인가’ 그 책은 동지사대 졸업 후에도 교토...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저자/이승신

姓 名 : 이승신 李承信 Lee Sunshine
學 歷 : 1968 이화여중고 졸업
1972 이화여대 영문과 졸업
1977 워싱턴 조지타운대학원 사회언어학
1979 뉴욕 시라큐스대학원 TV저널리즘 석사
2016 일본 교토 동지사대학 고전문학
主要經歷 : 1980 워싱톤 ‘미국의 소리’ 방송
1986 워싱톤 WBN TV 국장
1979 - 뉴욕 워싱톤 한국일보 중앙일보 조선일보 자유신문 칼럼
1991 한국 방송위원회 국제협력실장 출판기획위원
1994 Q채널 & 제일기획 제작고문
1995 삼성영상사업단 고문
1999 - 손호연 단가연구소 이사장
2003 - 손호연시인 기념사업회 회장
1999 - 복합예술공간 THE SOHO 대표
1979 - 시인 에세이스트 신문 칼럼니스트
1998 - 3언어로 “이승신의 詩로 쓰는 컬쳐에세이” 온라인으로 세계로 감
2011 - 일본 대재난이 일어난 당시 250수의 단가를 단숨에 지어 그 소식이 한국의

중앙일보와 일본의 아사히신문에 동시 게재되어 큰 반향을 얻었고 서울 동경에서의

출간과 함께 일본에서의 스피치 강연
시낭독 사인회 시작곡 음악회가 이어지고 한일 양국의 지도자급 인사들과 양국 대사들의

이승신의 시를 인용한 연설과 칼럼으로 국제외교와 한일우호에 격 높은 공헌을 해왔다는 평을 얻음
2016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식에 한국대표단 일원으로 참석
국내유일의 단가短歌시인으로 ‘세계유일의 모녀시인’의 딸 시인이며
문학과 문화로 국제외교와 연결해온 국내 유일한 문학인으로
2005년 정상회담 즈음에 ‘문화외교’라는 어휘를 최초로 썼고 3년 후
외교부에 ‘문화외교국’이 생김
※敍 勳 :2018 이대 문학상 수상
2017 한국언론기자협회 대한민국여성리더 대상
2008 일본 외무성 국제교류기금의 일한문화교류상 수상
한일우호의 평화정신을 도모하고 여러 장르의 예술형태로 그 정신을 세계에 알려온

“문화외교”로 국제문화교류에 기여한 공로
※著 書 : 시집 : 2008 치유와 깨우침의 여정에서
2009 숨을 멈추고
2010 오키나와에 물들다
2011 삶에 어찌 꽃피는 봄날만이 있으랴 (한국어 일본어)
2012 그대의 마음 있어 꽃은 피고 (한어 일어, 동경 아스카신샤)
수필집 : 1990 거꾸로 도는 시계
영어기획번역집 : 1979 ‘헤밍웨이 서간집’
1980 ‘태어나지 않은 아기에게 보내는 편지’ 外 다수
일어기획번역집 : 2002 ‘찔레꽃 뾰족한 가시위에 내리는 ...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목차

내가 살던 동네 데마치出町
16 육첩방
24 내가 살던 동네 데마치
32 ‘네네노미치’ 사람들
39 다시 동지사
46 배운다는 것은
51 다시 윤동주

문학의 나라
60 헤이세이를 마감하며
65 문학의 나라
69 왕족의 시 문학
75 동해 바다
81 ‘니이지마 조’ 묘 앞에 서면
88 Amherst의 ‘가지 않은 길’

가모가와의 봄
96 묘신지 꽃구경
102 헤이안진구의 밤 벚꽃
108 나무 부러지다
115 천 년의 이끼 고케데라
123 가모가와의 봄

교토에 가을 물이 들면
130 다시 교토
134 딴 세상
139 교토의 가을은 에이칸도
144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엥코지
150 료안지 가을에 물이 들면
155 키타노덴망구의 개

큐쿄도의 엽서
162 큐쿄도의 엽서
167 갤러리 가든 카히츠칸
172 가와바다 야스나리의 히이라기야
178 도라야 양갱
184 수이란 아라시야마
191 하나이카다
196 보도블럭을 걸으며

맛과 차茶
202 화가의 집, 더 소도
208 두부의 시작, 오쿠탄
214 교오망의 우나기
218 다다미가 있는 방
223 카기젠요시후사 쿠즈키리
228 찻집 Francois
233 아오모리 사과
239 아마구리

교토를 넘어
244 야나기 무네요시의 ‘민예'
250 Ginza Six
255 엄마의 치도리가후치
260 쿠사츠의 봄
264 오쿠도고에 땀을 씻으며
269 시 읊는 택시 운전사

칼럼과 기사
278 어머니의 유언
282 한일관계를 생각하다
287 배명복의 ‘사람 속으로’
297 서울에서 여보세요
300 일본인에게 부치는 편지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책 속으로

작가의 말
왜 교토인가?
아 교토의 천년 넘는 역사와 그 자취가 담긴 공간을 생각할 때에 교토를 한 줄로 정의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천살을 살아보지 않는 이상 그것은 코끼리 다리와 긴 코의 일부를

만져보는 셈일 것이다.
그러함에도 우리와 지리적으로 심적으로 극히 가까이 있는 그 도시의 실존과 의미와 가치를

나는 지금 떠올려 본다.
비자 받기도 어렵던 학생시절 '국제청소년회의’로 동경을 갔고 관방장관과 당시 일본정부

인사들과의 교류 후 오사카의 아버지 지인의 어린 딸과 기차를 타고 한 나절 교토를 간

적이 있다. 교토의 역사나 문화의 지식이 없던 때 그 시가지의 긴 길을 걸은 것이 교토의

나의 첫 기억이다.
그 후 미국의 긴 삶이었고 시인 어머니의 출판기념회들과 나의 강연 등 일본을 찾은

것은 주로 동경이었다.

2005년, 일본 문화부 주관으로 어머니를 기리는 한일 문학세미나가 교토에서 있었고

짧은 시간의 만남에도 감명을 받았다. 교토의 첫 방문 후 35년이 지나기도 했지만

무엇보다 어머니마저 가심으로 철이 좀 들었다고나 할까 주위 사물이 깊이 있게 다가왔다.
그 후 회의, 강연 등 기회 있을 때마다 교토를 찾았고 나를 끌어당기는 건 무엇일까 생각하며

교토를 마주했다. 수많은 사나흘의 짧은 시간이었다. 마주치는 서양인들은 별세계 같다,

동화 속 같다 하며 반했지만 같은 동양권에서 온 나에겐 뭔가 먼 세상에서 살아본 듯한

가슴속 아득한 고향 같은 느낌이었다.
짧게 머물며 길 건너 천황이 살던 고쇼御所와 그 맞은 편 동지사 대학을 자주 산책했다.

봄꽃 아래, 말을 걸어온 이에게 “이런 아름다운 캠퍼스에서 공부하면 얼마나 좋을까요?”

하니 즉각 입학 신청서 내는 곳을 인도했다. 그것이 우연인지 기연인지 한국과 미국이

문화 배경인 사람이 일본문화에 겁도 없이 뛰어든 것이다. 2015 2016년 교토 동지사 대학의 만학이다.

75년 전 동지사를 다닌 윤동주 시처럼 '육첩방은 남의 나라’ 그야말로 좁은 육첩방에, 좀 안다고

생각한 일본은 전혀 외국이었고 얇은 일어 실력으로 하는 공부는 벅차기만 했다. 집으로 돌아가고만

싶은 정말로 외롭고 힘든 날들이었다. 그러나 내 인생 일찍이 다닌 그 어떤 학교보다 밤을 밝히며

매진하여 스무 과목을 통과하고 나니 그것은 필연이었다는 생각이 든다.
그때 그 공간에서 배우고 깨치고 알게 된 것을 나만 간직할 게 아니라 일본에 가보았으나

여전히 일본을 막연히 알고 있는 분들에게 알려줄 사명이 나에게 있다는 생각을 했다.

천년의 고도古都인 교토. 그 곳은 일본인 모두의 마음의 고향이요 일본미의 핵심이며

소프트 파워의 위력을 전 세계에 단단히 보여주는 곳으로 그 묘한 매력은 한 번 온

사람을 반드시 다시 오게 만든다.
알다시피 660년 백제가 나당연합군에 멸하여 움직일 수 있는 백제인은 일본으로 건너갔...

 

★출판사서평

 

시인 손호연이 단가에 이름을 떨치더니 한국과 일본의 정상외교에서 선린과 평화를

가르쳤다더라. 대를 이어 이승신이 그 단가에 손을 펼치고 에세이를 더하니 눈뜨고 보고

귀담아 듣고 입가지고 외울만한 글들이다. 부디 한국과 일본의 독자들이 이 ‘모녀시인’의

순수한 뜻을 포착해 한일관계 개선과 양국 공존의 길을 열어주기 바란다
최서면 국제한국연구원장

아침, 문학관에 나오면 커피와 더불어 이승신 시인의 메일을 뽑아 읽는다.

재미가 적지않다. 최근엔 교토의 맑고도 고요한 천년고도를 누비며 20세기의 36년간이

아닌 먼 전전날의 ‘선린’을 되챙겨 펼쳐준다. 이 시인의 컬쳐에세이를 읽으며 침잠하게

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세상과 역사는 먼 안목으로 볼 일이다
최승범 시인 고하문학관장

이승신의 교토의 만학은 오래전 나의 교토의 삶을 떠올리게 한다.

가장 로컬한 것이 가장 글로컬한 시대에 아날로그적 감성으로 日本文化 핵심인

교토를 바라보며그 따뜻한 마음을 ‘시로 쓰는 에세이’로 드러내고 있다.

이 아름다운 깨우침의 글은 교토의 실존과 그 의미를 접점으로 하여 우리와

일본과의 관계를 새삼 생각하게 해준다.
이어령 문학평론가

천년이 넘는 한일간 문화교류의 흔적과 일본의 특유한 문화유산을 시적 감수성으로

바라보는 이승신 선생의 아름다운 이 61편의 글은 일상으로 무디어진 우리의 감성을

순수함으로 되돌려 줄 것이다. 깊은 울림을 주는 이 책이 한일간의 정치외교관계를

정상으로 되돌리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한승주 고려대 명예교수

★2018년 첫번째 출간한 책